모든 글쓰기

강사: 백우진(가천대 겸임교수, 글쟁이주식회사 대표)

  • 약력/경력: 한화투자증권 편집위원, 아시아경제신문 부국장, 중앙일보 이코노미스트 편집장, 포브스코리아 편집장, 한경닷컴 취재팀장, 재정경제부 홍보기획단, 동아일보 기자
  • 저서: 일하는 문장들, 백우진의 글쓰기 도구상자, 나는 달린다 맨발로, 안티이코노믹스 등
  • 역서: 맥스 테그마크의 라이프 3.0, 두렵지만 매력적인, 인구 대역전 등

수업 기간: 2023년 1월 4일(수) ~ 2월 8일(수), 6주 과정(총 6강)

수업 시간: 매주 수 19:00 ~ 21:00

교재: 강사가 작성한 PPT 등 파일, 강의 전 배포

줌 링크: https://us02web.zoom.us/j/6126543623?pwd=YVFQNTZBMVJMdEM0WW5Za1hxRzBCUT09, ID: 612 6445 3623

수업 정원: 20명(4명 이하 폐강)

수강료: 16만원

수업 개요:

글을 크게 두 종류로 나누면, 독자가 회사 내부나 해당 분야 연구자로 한정된 업무·학문적 글(보고서, 논문 등)과 가능한 한 더 많은 독자에게 읽히고자 쓰이는 대외적인 글(수필, 칼럼 등)이다.

보고서와 논문 쓰기의 핵심 3원칙은 ‘두괄식’과 ‘구조화(개조식)’, ‘겹치지 않게 빠짐 없이(MECE)’이다. 수강생은 이 3원칙을 적절한 사례와 예제 실습을 통해 익힐 수 있다. 또 내공을 드러내는 표·그래프·숫자 정리법을 배운다.

논문을 비롯해 논증하는 글을 완성도 있게 쓰는 데에는 비판적 사고력이 필요하다. 비판적 사고력 함양을 돕는 비판적 독해 시간도 갖는다.

1강: 두괄식 문단·문장·문구

보고서 작성에 활용할 첫째 지침은 두괄식이다. 두괄식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익혀서 습관이 되도록 한 사람은 많지 않다. 보고서는 문단 단위로 작성하고, 각 문단은 기본적으로 두괄식으로 써야 한다. 문단보다 작은 단위인 문장과 문구도 두괄식이 효율적이다. 나아가 핵심요약문을 앞에 붙이면 보고서 전체가 두괄식이 된다.

  • 왜 두괄식으로 써야 하나
  • 두괄식의 유형별 이해
  • 문단, 문장, 문구 두괄식 수정 실습

2강: 짜임새 있게 구조화하기(개조식)

‘구조화’ 지침은 짜임새 있게 쓰라는 것이다. 구조화와 관련해 ‘개조식’이라는 용어도 활용된다. 구조화와 개조식이 무엇일까? 구조화는 쓸 내용을 한 덩어리씩 문단으로 묶고 문단 속 내용을 층위에 따라 배치하는 작업이다. 개조식 보고서는 구조화된 내용을 부호와 들여쓰기로 시각 처리한 결과이다. 문단보다 더 큰 구조는 목차이다. 목차를 구성하는 기본 원리도 이 강좌에서 익힐 수 있다.

  • 구조화 첫 단계인 문단 단위 서술의 이해와 실습
  • 구조를 시각화하는(개조식) 방법과 실습
  • 목차 잡기의 이해: 목차는 2형식
  • 목차 수정하기를 통한 실습

3강: 겹치지 않게 빠짐 없이(MECE)

‘중첩없이 누락없이’는 영어 약어로 MECE(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라고 불린다. 중첩된 부분이 많은 보고서는 읽는 사람의 시간과 노력을 소모한다. 효율이 낮다. 게다가 간결하게 쓴 보고서에 비해 임팩트가 적어 설득력이 떨어진다. 중첩보다 더 큰 문제가 누락이다. 누락된 보고서는 다시 써야 한다. 실습을 통해 중요한 내용을 빠짐없이 쓰는 훈련을 할 수 있다.

  • 겹치지 않게 써야 하는 이유
  • 예시문에서 누락된 중요한 정보 찾기 실습
  • 문단, 문장, 단어에서 중복 피하는 서술법

4강: 핵심 요약문으로 보고서 전체를 두괄식으로

토익 시험에 긴 지문이 나오고 이후 몇 문항에서 그 내용을 묻는 유형이 있다. 이때 긴 지문을 다 읽고 문제의 물음에 대한 답을 찾나? 그보다 효율적인 방법이 있다. 문제를 먼저 파악하고 그 물음에 초점을 맞춰 지문을 읽는 것이다.

이런 유형에서 출제자가 문제를 먼저 낸 뒤 지문을 제시한다면 응시자는 훨씬 쉽게 답을 찾을 것이다. 보고서도 마찬가지다. 작성자가 중요한 내용을 요약해 보고서의 맨 앞에 한 장 붙이면 검토자는 작성자가 중시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보고서를 읽을 수 있다. 정보량이 많은 보고서에 핵심 요약문을 붙이지 않을 경우 검토자와 작성자의 초점이 일치하지 않을 위험이 커진다. 핵심 요약문은 정보량이 많은 보고서의 전달 효율을 높인다.

  • 핵심 요약문은 무엇이며, 왜 작성하나?
  • 어떤 보고서에 핵심 요약문을 붙이나?
  • 핵심 요약문 작성법, 실습과 합평

5강: 종합실습, 내공을 보이는 표·그래프·숫자 정리

보고서 작성의 세 가지 핵심 지침인 두괄식, 구조화(개조식), MECE를 익히는 종합실습 을 한 시간 동안 진행한다. 온라인으로 제출된 답안에 대해 강사가 개별적으로 피드백한다.

표와 그래프 작성은 단순한 기술이고, 따로 배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표와 그래프의 다양한 유형과 활용법을 익히고 능숙하게 구사하는 사람과 판에 박히게 작성하는 사람의 차이는 크다. 표와 그래프에서 내공이 드러난다. 숫자를 다루는 데에도 기본과 방법이 있다.

  • 표나 그래프로 퉁치지 말라
  • 표와 그래프를 작성하는 노하우
  • 숫자를 다루는 기본

6강: 크리티컬 싱킹을 위한 크리티컬 리딩

논문을 비롯한 논증하는 글은 오류가 없게 작성해야 한다. 글에서 오류를 걸러내는 주요 그물이 내적 정합성과 사실 적합성이다. 두 그물을 활용하는 사고를 크리티컬 싱킹(비판적 사고)이라고 한다. 크리티컬 싱킹은 크리티컬 리딩(비판적 독해)을 통해서만 함양할 수 있다. 이 시간에는 내적 정합성이나 사실 적합성에 어긋난 예문을 읽고 오류를 찾아냄으로써 비판적 사고력을 기른다.

  • 내적 정합성에 위배된 부분 찾기
  • 사실 적합성에 위배된 부분 찾기
  • 종합 예제 통한 크리티컬 싱킹

글쓰기 일대일 클리닉 안내

후기

단시간에 집중이 필요한 강의로 사고력이 향상되었습니다. 

글쓰기의 기본을 짚어 주셨고, 이외에 여러 가지 측면에서 챙겨야 할 부분들을 알려 주셨습니다. 

촉박한 시간 내에 실습을 해야 해서 강의의 효과가 배가된 것 같습니다. 

대표님께서 손수 만드신 자료이다 보니 글 자체를 읽는 것만으로도 공부가 되었습니다. 

여타 다른 강의에서 들을 수 없는 글쓰기, 비판적 사고와 글 읽기 방식이 놀라웠고 좋았습니다. 

실습 시간이 부족해서 미리 자료를 받아서 미리 문제를 풀어 온다면 수업시간에 더 많은 부분을 알아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